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하는/GPT, 코딩20

아두이노로 LED를 켜보자! (디지털핀, 아날로그핀) 오늘의 회로도는 LED를 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볼까 한다. [LED를 켜기 위한 사전 지식] 우선 아두이노의 기본적인 정보부터 탐색해볼까 한다. POWER: 전원과 관련된 부분이다. 3.3V, 5V가 (+) 역할을 GND가 (-) 역할을 한다 ANALOG IN: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IN) 받는 단자 DIGITAL: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 받을 수 있는 단자 (~PWM) :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역할은 아래에 적겠음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1. 디지털 신호: 전기 신호의 일종으로 0(LOW)과 1(HIGH)로 표현된다. 아두이노의 디지털 단자는 5v의 출력을 내므로 LOW=0v=없음 HIGH=5v=있음 으로 기억해도 좋다. 아두이노의 디지털.. 2020. 3. 8.
아두이노를 컴퓨터와 연결해보자~( IDE 설치 / 씨리얼 모니터에 원하는 문장 출력하기) 아두이노의 보드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필자는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그냥 아두이노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아두이노 IDE 다운받기] IDE란? 정보·통신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애플리케이션에 도입된 프로그래밍 환경) by 네이버 백과사전 아두이노와 소통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검색창에 '아두이노 IDE'를 검색하거나 https://www.arduino.cc/ 싸이트에 들어가면 상단 메뉴 중 SOFTWARE -> DOWNLOAD 로 가서 사용하는 운영체제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참고] 구형 아두이노의 경우 칩셋에 따라서 별도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 ATMEGA.. 2020. 3. 7.
아두이노로 LED를 켜보자(프로그래밍 없이!) 실습용 아두이노의 LED는 3파이 LED가 보통 쓰인다. (1) 3파이? 라고 하는 것은 직경을 의미한다. 3mm LED와 동일하게 생각해도 좋다. (2)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부른다. 다리가 긴 쪽이 플러스, 짧은 쪽이 마이너스. 보통 LED는 색상에 따라서 정격전압이 다른데 2~3v 정도, 정격전압은 20mA 정도라고 생각하면 좋다. 주의할 것은 전압. 너무 강한 전압이 흐르면 엘이디가 폭발할지도 모른다. 아두이노에는 (-) 역할을 하는 GND가 있다. 그렇다면 (+) 역할을 하는 것은 없을까? 좌측에 보면 3.3v, 5v 라고 쓰여진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아두이노 출력은 일반적으로 5v 이기에 다른 출력부분에 연결할때는 바로 연결하면 고장이 날 수 있으니 저항(.. 2020. 2. 17.
아두이노의 전원을 켜보자 아두이노의 장점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명령어를 입력 후 전원을 공급해준다면 독자적인 수행이 가능하다 1. USB 단자를 이용 (1) 컴퓨터로 연결하기 (2) 보조배터리 연결하기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전압, 보조배터리 전압은 5v이므로 아두이노를 가져다 연결하면 사용할 수 있다. 2. DC잭을 이용하기허용전압: 6v~20v권장전압: 7v~12v아두이노는 5v를 사용하는데 입력되는 전압이 항상 5v일 수는 없다그 때 아두이노 보드에 달려있는 레귤레이터가 전압을 안정시켜줘요!권장 전압 안에서 연결하면 문제 없다 (1) 건전지로 연결하기여러가지 건전지 홀더가 있다. 건전지의 경우 소모품이라 휴대성을 제외하고는 보조배터리 활용하는 것이 편해보인다.테스트할 때는 나름 편하기도 하다! (2) 어댑터로 연결하기.. 2020. 2. 17.
코딩교육이 필요한 이유? 아두이노를 해봐야 하는 이유! 필자의 블로그는 사실 30대와 40대의 취미를 겨냥하고 만들었다! (그래야 블로그를 핑계삼아 내가 즐길 수 있어서?? ㅋㅋ) 오늘의 이야기는 이 블로그의 핵심 테마 중 하나인 '아두이노'와 관련된 글이다. (이제부터는 내 개인적인 견해이니 그냥 풍문으로 들었소~ 정도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주요 주제는 '아두이노'를 가지고 노는 방법이 될 것 같다 1) 전문적인 지식을 이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2) 잘 다루는 법이 아니라 가지고 노는 것이다 3) 즉, 이 블로그는 단지 취미생활이 아니라 '자녀교육'과 연관 지을 것이다. 4) 초등학생 자녀 또는 중학생 자녀와 함께 해보자. 이것이 30대와 40대를 겨냥한 이유이다 이것이 바로 두괄식! 핵심은 저 네 가지이다. 1) 전문적인 지식을 .. 2020. 2. 5.
반응형